오늘 포스팅에선 사회생활하면서 궁금해 할 수 있는 직위 직급 직책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사에선 다양한 호칭들이 사용되고 있죠. 이런 호칭은 회사내 서열이나 위치인 ‘직위(職位)’, 직무의 등급인 ‘직급(職級)’, 직무상의 책임을 나타내는 ‘직책(職責)’으로 구분을 하게 됩니다.
직위 ( 職位 )
먼저 직위입니다. 직위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등을 이르는 말로 회사 내에서의 위치와 서열을 나타냅니다.
우리가 흔히 ○ ○ ○과장님, ○ ○ ○부장님 이라고 부르는 게 직위인 것입니다. 때문에 회사에서 승진을 했다고 한다면 이 직위가 주임에서 대리로, 대리에서 과장으로 올랐다는 말이 됩니다.
직급 ( 職級 )
직급은 직무의 등급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직무의 종류나 난이도, 책임 따위가 비슷한 직위를 한데 묶은 최하위의 구분이며, 주로 급여 수준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흔히 공무원의 호봉이 그것인데, 같은 9급 공무원이라도 1호봉 2호봉 3호봉처럼 호봉에 따라서 임금이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 회사에서도 같은 과장일 지라도 '연차'가 다를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임금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공무원이 아니라면 과장 1년 차, 과장 2년 차처럼 구분하지 않고 그냥 과장이라고 직위와 직급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때문에 직위( 職位 ) 와 직급( 職級 ) 을 헷갈려하시는 경우가 상당한 것 같습니다.
직책(職責)
회사에서 그 사람이 맡은 책임의 따라서 구분하는 것으로 흔히 팀장, 파트장, 실장, 본부장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팀장은 직위 고하에 상관없이 될 수 있습니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직책인 팀장은 직위가 대리인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직위가 부장인 사람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때문에 흔히 '그 사람은 직책이 높다더라' 혹은 '그 사람은 직책이 낮다더라' 등의 표현은 잘못 된 것입니다.
직위 vs 직책 호칭
그렇다면 여기서 드는 의문점? 직위가 대리이고, 직책이 팀장이라면 호칭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개인을 호칭할 때에는 직위나 직책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이왕이면 서열이 높은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 처럼 직위가 대리이고 직책이 팀장이라면, '○ ○ ○팀장님' 이라고 호칭하는 것이 말하는 사람도 그리고 듣는 사람도 좋겠습니다.
반면 팀장의 대부분이 대리 혹은 과장인데, 부장인 사람이 팀장 중에 한 명 있다면 그 사람은 '○ ○ ○ 부장님'이라고 부르는 게 좋겠습니다.
하지만 회사마다 직위나 직책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곳들도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 알아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직위( 職位 ),직급( 職級 ), 직책(職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